아크라이트 이후 과학은 비즈니스에서 뚜렷한 역할을 차지할 정도로 뿌리를 내렸다. 그때부터 기술적인 측면뿐 아니라 경영 관행에서도 과학이 도입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경영이 하나의 과학으로 인식되기 시작한 것은 빅토리아 시대 영국에서 가장 비범한 인물이었던 수학자이자 컴퓨터 발명가 등 다양한 직업을 가진 천재였던 찰스 배비지가 1840년에 쓴 책을 통해서였다.
배비지가 연구했던 것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주제는 과학적 원리가 적용되는 경영의 필요성이었다. 그의 연산 체계는 과학적 원리의 실행을 돕기 위해 고안된 것이며, 기술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큰 번영, 보다 나은 수입과 노동자의 생활 향상, 질서 있고 이성적인 사회 건설 등 보다 고귀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컴퓨터는 고귀한 목적을 띠고 발명되었다.
1895년 필라델피아의 철강공장의 현장 주임이었던 프레더릭 윈슬로 테일러는 자신의 연구에서 생산성이 일정 수준에 이르면 성과급 액수를 낮추는 고용주들을 호되게 공격했다. 그는 완료된 작업량이 아닌 과업 완료에 걸린시간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이 관행을 근절해야 한다고 말했고, 합리적으로 설정된 과업 수행 속도에 따라 종업원들의 보수를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테일러 시스템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주어진 과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최적 시간을 효과적으로 측정하는 것이었다. 이를 알아내기 위해 테일러는 분업의 원칙을 최대한 활용했다. 직무의 구성 부분들이 논리적으로 더 이상 세분될 때까지 계속 나누어 초시계를 이용해 종업원이 각 하부 과업을 수행하는 시간을 측정한 후 그 자료들을 분석하여 최적 시간을 추산했다. 그리고 그 시간들을 차례대로 더해나감으로써 각 직무를 합한 전체 공정의 최적 시간을 계산했다. 여기서 등장하는 과학적이란 용어는 접근 방식을 뜻하는 것으로 측정과 분석이 적절히 결합되었다는 의미다. 이것은 모든 행동이 측정에서 출발해야 하며, 효과적인 측정이 이루어진다면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그 당시의 과학적 신념과 완전히 일치하는 것이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