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3월 31일 수요일

플랜피플

8년전에 디지털카메라가 상용으로 나왔을 때 그 웹 방식에 대한 혁명을 예고하는 강의를 한적 있다. 그것은 넷아트라는 개념 설명에서 부터 시작하였으나, 그림의 제작 방식이 바뀌고 그후로  소비하는 방식이 바뀌면서 디지털이라는 것은 디카로 상용화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넷 아트의 특징( 넷아트 개론(1994-1999) by Natalie Bookchin, Alexei Shulgin )

1. 국가와 분야를 넘어선 예술가들의 모임 형성

2. 물적 자본 없는 투자

3. 아이디어 도용의 고려 없는 합작

4. 표현에 앞서는 커뮤니케이션

5. 직접성

6. 비물질성

7. 일시성

8. 행위에 기초를 둔 과정

9. 역사적 결과에 대한 고려나 걱정 없는 활동

10. 전략적 더부살이(기생)
    a. 넷을 최초 기반으로 한 활동

    b. 실재 생활을 네트워크화한 하부구조로 확대
11. 공과 사의 경계 소멸

12. 총체적인 하나
    a. 제작, 출판, 배급, 프로모션, 대화(소통), 소비, 비평의 매체가 되는 인터넷

    b. 예술가, 큐레이터, 펜팔, 관객, 갤러리, 이론가, 예술작품수집가, 미술관의 변형이자 분해

 

이렇게 여러운 특징들 빼고 나의 관심은 아트가 전문제작자와 큐레이터가 분리된 것에서 이제 소비자가 제작자이면서 큐레이터의 역할을 하고 있는 방향에 대한 것이 었다.

 

인상파

19세기 후반 인상파 화가들은 대부분 모든 그림을 밖에 나가 켄버스에 스케치 하였으나 그 작품을 대부분 끝까지 밖에서 그린 것은 아니다. 그들은 카메라로 그 풍경을 찍어와서 실내에서 완성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카메라의 영향이 없었다면 인상파는 탄생하지 못했을 지도 모른다.

그 카메라가 기술의 발전으로 이제 3D를 넘보고 있다. 작년에 3D와 4D의 시장은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기존 극장을 사그리 대체할 것이라고 커피숖에서 얘기하고 다녔던 기억이 있다. 

돈벌이와 기술과 예술이 조화로운 세상이 되어버린 것이다.

 

예측하건데 앞으로 10년내에 플랜피플족들이 상용화될 것이다.  즉, 자기의 삶이 영화적으로 시뮬라시용되어져서 살아가게될 것이다. 많은 부류가 그 나름데로 규정될 것이며, 각 계층은 서로 융화될 수 없는 규격된 삶을 살아 갈 것이다.

그 예상으로 CNN이 뉴스를 소설쓰듯이 만들고 있다는 사실과 우리나라나 미국에서 아이들의 장래를 기획하는 일이 빈번해졌다는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

BubbleT

VQ21A1-5G-C8-F

$26.29

24Voltage 2.1A의 SMPS를 사용하면 50W에 대응한다. 개당 2.9W이므로 10개이면 29W가 된다. 따라서 이정도면 40$정도의 SMPS면 될 듯.

기술이사

좋은 소프트웨어를 만들려면 상당한 집중력이 필요하다. 알테어를 위한 베이식을 짜는 동안 내 몸은 파김치가 되었다. 생각에 집중할 때 나는 방 안을 왔다갔다 하는 버릇이 있다. 그렇게 하면 잡념 없이 하나의 문제를 파고드는 데 도움이 된다. 1975년 겨울 나는 기숙사 방 안을 수없이 맴돌았다. 폴과 나는 늘 수면부족에 시달렸다. 우리는 밤낮을 잊고 살았다. 책상에 앉아 있거나 바닥에 엎드려 있다가 그대로 잠이 들기 일쑤였다. 어떨 때는 하루종일 아무것도 먹지 않았고, 온종일 아무도 만나지 않았다. 베이식은 5주 만에 완성되었다. 드디어 세계 최초의 중형 컴퓨터 소프트웨어 회사가 탄생했다. 이번에는 회사이름을 마이크로소프트로 지었다.  - 빌게이츠

2010년 3월 25일 목요일

푸리

목욕물 버리기 위해 씻기던 아기까지 버릴 수는 없지 않나.

비 온 뒤에 땅이 미끄럽다.

2010년 3월 14일 일요일

알고

Algor(알고)는 1970년대부터 개발되어 전세계 CAE 시장에서 20만명의 고객을 확보하고 있는 범용 유한요소기법 소프트웨어 패키지이다. 현재 Algor는 수많은 CAE 전문 사용자들로부터 프로그램 결과의 신뢰성을 검
증 받아 자동차, 우주항공, 의료, 생활용품, 방위, 에너지 및 설비 산업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Algor는 실제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편의 중심의 전처리 & 후처리 프로세스, 그리고 자동 하이브리드 메시 기술을 사용하여 신뢰도 높은 계산 결과와 짧은 시간 내에 해석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개발되었
으며, 어려운 비선형 문제뿐만 아니라 유체-열-구조-전기장 문제를 한 프로세스 내에서 연성하여 계산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ANSYS -

1963 : John Swanson 박사는 피츠버그에 소재한 웨스팅 하우스의 우주핵실험실에서 NERVA(nuclear reactor rockets) 의 개발을 위해 자체적으로 개발한 Code 를 사용하고 있었다. 꾸준한 개발을 통하여 3차원 굽힘, 비선형, 과도동특성해석까지 되는 프로그램이 완성되었고 STASYS (Structural Analysis SYStem)라고 불렀다. STASYS를 Upgrade 하는것이 웨스팅하우스나 다른 엔지니어링 회사에게 Time&Money 를 절약해 줄 수 있다고 믿었으나 회사차원에서의 지원은 더 이상 없었다.

1969 : John Swanson 박사는 회사를 그만두고 피츠버그 밖의 자신의 집에서 Swanson Analysis Systems 라는 회사를 만든다.

1970 : 첫번째 version 의 ANSYS(Analysis System)가 개발되었고 첫번째 고객은 웨스팅 하우스였다. 이때의 Program은 Punch Card 를 통해서 설치가 되었다.

2010년 3월 11일 목요일

한미 시리즈

미녀 스파이가 나오는 미국드라마 제니퍼 가너의 앨리어스를 보면서 우리나라에도 이영애가 나오는 스파이물을 만들면 꼭 보고 싶다했다.

 

금번, 추노는 미드에 지친 나에게 금쪽같은 것이 되어버렸다. 시나리오가 미드에나 있을 법한 작가들로 구성된 것 같다. 소재도 만만하지 않고, 조연들도 나름 캐릭터가 좋다. 무엇보다 노비와 양반이라는 기 습득한 역할은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조건이다.

 

추노 시즌 10까지 갈 수 있으면 좋겠다.  초반에 노비를 풀어주고서 화적당에 가면 살 수 있다는 것을 기반으로 이야기를 계속이어가는 그 복습에 터미네이터2를 보는 듯하였다. 걔네들은 철저하게 1편을 재구성하는 천재였었는데...

 

 

(2006년 말) 대한통운 사장을 그만둔 뒤 놀고 있던 중 한 전 총리와 통화했는데, (한 전 총리가) 먼저'노니까 어떠냐. 답답하지 않으냐'고 물어서,'집사람이 자꾸 뭐 알아보라고 한다'고 말한 적이 있다"고 증언했다.

무 소 유

북극여우를 잡을 때 다른 고기로 칼날을 감싸 얼려서 얼음 위에 수직으로 세워놓는다고 한다. 그러면 다른 고기의 피맛에 굶주린 여우가 칼날을 둘러싸고 있는 언 고기를 떼어먹는 동안 자기도 모르게 혀가 함께 얼어 마비된다고 한다. 그러다보면 나중엔 얼음에 마비된 자기 혀를 칼날에 문질러 자기 피를 빨아먹게 되고 혀까지 뭉텅 베게 되어 목숨을 내놓는다는 것이다

 

사람들이 재물과 색을 버리지 못하는 것은 마치 칼날에 묻은 꿀을 탐하는 것과 같다. 한번 입에 댈것도 못되는데 어린애들은 그것을 핥다가 혀을 상한다.

 

드라마 추노에서 승냥이 사냥하는 방법에 대해 얘기할 때 나온 거 같습니다.

2010년 3월 4일 목요일

2012

그 뒤로 이어지는 이야기는 재난 영화의 종합 선물 세트와 같습니다. 지진? 나옵니다. 해일? 나옵니다. 화산? 나옵니다. 침몰하는 배? 나옵니다. 관광 명소 파괴? 나옵니다. 정부의 음모? 나옵니다. 이혼으로 갈라졌다가 다시 봉합되는 가족? 나옵니다. 장엄한 연설? 나옵니다. 최대한으로 유치하고 단순하게 뽑아낸 과학 강의? 나옵니다. 개? 나옵니다.

듀나에서...

2010년 3월 2일 화요일

떠나자

<월스트리트 저널>은 “워커홀릭 세계 챔피언 격인 한국 직장인들이 휴가를 가고 싶어도 계층적 사회구조 때문에 못 가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상사들부터 휴가를 제대로 가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한국 정부가 지난 1월 공무원들에게 연간 16일 휴가 사용을 의무화하고 휴가 계획을 제출하라고 했지만, 이명박 대통령은 2008년 취임 이후 여지껏 휴가를 나흘 썼고 현인택 통일부 장관은 휴가를 아예 가지 못했다는 사례를 들었다. 공무원 의무 휴가안을 작성한 행정안전부의 과장도 지난해 휴가를 가지 못했다고 전했다. 신문은 한국인이 2007년 평균 2316시간을 일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1768시간보다 훨씬 높지만, 생산성은 경제협력개발기구 나라 가운데 옛 동구권을 빼면 꼴찌 수준이라고 꼬집었다. 이참 한국관광공사 사장은 “한국인들은 미리 일정을 잡지 못한 채 급작스레 휴가를 다녀오는 경우도 많다”고 말했다고 신문은 전했다.